Chat Bot(챗붓)과 ChatGPT(챗지피티)의 뜻이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고 어떤 식으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구글과 국내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 등의 챗붓에 대한 정보입니다. 보통 지식백과, 나무위키를 참고했습니다.
Chat Bot(챗붓)
대화형 인공지능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메신저에서 사용자들과 소통하는 붓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정해진 규칙에 맞게 메시지를 입력하면, 그에 맞게 출력하는 단순한 챗붓도 있습니다. 상대방의 메시지를 인공지능에 가깝게 답변을 내놓는 여러 가지의 챗붓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메시지를 기본 규칙으로 송출해주는 용도였으나, 구글 딥마인드와 알파고 등의 등장 이후에 AI기술을 접목시키면서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고객 상담용으로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대화형인 Siri(시리), 빅스비, 아마존의 알렉사도 큰 틀에서 보면 챗붓이라고 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다음에 다시 답을 음성으로 변환해서 송출해 줍니다.
2022년 GhatGPT의 등장하면서, 검색엔진까지 넘보는 수준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ChatGPT(챗지피티)
오픈에이아이(Open AI)가 2022년 11월 30일 공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으로, Open AI에서 만든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인 'GPT-3.5' 언어 기술을 사용한다. - 네이버 지식백과
2018년 GPT-1, 2019년 GPT-2, 2020년 GPT-3로 버전을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2022년 11월 30일에 GPT-3의 강화학습을 적용해서 더욱 뛰어난 GPT-3.5를 기반으로 GhatGPT 3.5 베타가 출시되었습니다. 사전 훈련된 언어의 자연어 처리(NLP) 시스템의 일환이다. GPT 성능은 매개변수(파라미터) 개수가 중요한데, GPT-3는 매개변수 1750억 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얼마 후, GPT-4로 업그레이드되면 매개변수(파라미터)가 1조 개가 될 거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더욱 성능이 업그레이드될 거라는 건 당연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일반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뛰어나지만, 2021년 이전 데이터만 학습을 했기 때문에 최신 정보에 대한 답변은 오류가 많습니다.
ChatGPT는 미국에서는 유료버전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월구독료는 20달러이고, 점차적으로 대상 국가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을 하면서 서버가 다운되고, 느려지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유료버전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합니다. 사용자 숫자가 인스타그램이나 틱톡 모두를 뛰어 넘어서, 현재 가장 빠른 속도로 올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와 제휴를 해서, Teams 프리미엄을 출시했습니다. Teams 프리미엄은 기업 및 학교를 위한 인스턴트 메신저 겸 인터넷 화상통화 서비스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만 있으면 개인도 가입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무료버전은 사용자당 2GB, 팀즈에 10GB의 공간이 제공됩니다.
구글과 국내 플랫폼 대응 챗붓
구글에서는 6일 대화 응용 프로그램용 언어 모델(LaMDA 람다)을 기반으로 한 "바드(Bard)라 불리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해 신뢰할 수 있는 테스터에게 우선 공개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처럼 검색 엔진을 운영하는 인터넷 기업과 통신 서비스 사업자, 삼성 전자, LG 전자 등 많은 곳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2021년 5월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를 개발하고, 여러 분야에 적용해서 발전시켜 왔습니다. 하이퍼클로바는 2040억 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어서 GPT-3.5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는 축적된 검색 역량에 생성형 AI를 접목한 '서치지피티(Search GPT)' 서비스를 올해 상반기에 출시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독립 자회사인 '카카오 브레인'을 통해서 2017년 언어형 AI 모델 KoGPT와 이미지 생성형 AI 모델 민달리(minDall-E)를 개발해 왔습니다. 2021년 11월에는 GPT-3 모델 기반의 한국어 특화 언어형 AI KoGPT를 공개했으며, 2022년 12월 민달리 업그레이드 버전 칼로를 공개했습니다.
한국어에 특화된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업체들도 챗붓을 업그레이드하면서 공개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챗지피티도 조만간 활용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AskUp 채널 친구 추가와 사용 방법. 3월 16일부터 GPT4 적용 (0) | 2023.03.17 |
---|---|
ChatGPT 애플리케이션 오류: 클라이언트 측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 (0) | 2023.03.12 |
지능의 탄생 - 이대열. RNA에서 인공지능까지 (0) | 2023.03.09 |
인간은 필요 없다 - 제리 카플란. 인공지능 시대의 부와 노동의 미래 (0) | 2023.03.08 |
인공지능과 딥러닝 - 마쓰오 유타카. 뜻과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0) | 2023.03.07 |
댓글